Wed, March 22, 2023    전자신문보기
오피니언
>오피니언 >김명욱목사

사순절과 세례의 관계

“세례를 준비하는 성도에게 사순절의 의미는?     초대교회는 매주일을 부활을 위한 축제의 날로 삼고 예배를 드렸다. 주님의 부활에 초점을 맞춘 매주일의 예배는 '작은 부활절'(little Easter)로서 교회력의 기초를 이루고 있었다. 특별히 이들이 맞는 주일은 언제나 부활과 연관을 지었기에 기쁨과 감사와 승리의 축제였다. 비록 그들은 심한 박해에 시달리는 현실 속에서도 주의 날을 기다리며 부...
  • 보이지 않는 마음과 영혼의 세계

    보이지 않는 마음과 영혼의 세계

    03/17/23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있다. 보이는 세계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가시(可視)의 세계를 포함한다. 보이지 않는 세계란 마음의 세계, 정신의 세계, 영혼의 세계 등이 있다. 우리의 눈엔 보이지 않지...

  • 봄날의 복된 희망

    봄날의 복된 희망

    03/03/23

    계절의 바뀜은 인생이 가고 있음을 알게 한다. 다른 겨울답지 않게 이번 겨울은 별로 추위도 없이 따뜻하게 지나가나보다. 3월, 춘삼월이다. 길을 지나가다 보면 벌써 새싹들이 돋아나고 있다. 조금만 지나면 아...

  • 불행을 희망으로 바꾸는 생명

    불행을 희망으로 바꾸는 생명

    02/17/23

    사람의 생명은 우주보다도 귀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우주가 먼저 존재했고 나중에 생명이 탄생했어도 생명인 인간이 우주를 인식하였기에 우주의 존재는 가능하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 생명이 이 ...

  • 죽음의 시와 공간이 가지는 의미

    죽음의 시와 공간이 가지는 의미

    02/03/23

    죽음, 누구나 다 한 번은 죽는다. 사람만 죽는 게 아니다. 생명을 가진 모든 생물은 다 죽는다. 제 아무리 재산과 명성을 많이 가진 사람도 때가 되면 죽는다. 그러니 재물과 명성이 있다고 그렇게 부러워 할 필...

  • 생명에 대한 관심과 사랑

    생명에 대한 관심과 사랑

    01/23/23

    생명(生命/Life)이란 얼마나 귀중한가. 생명이란 우리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힘이다. 생명이 사라진 사람은 죽은 사람이며 시체나 혹은 사체(死體)다. 생명이 붙어 있는 한 포기란 없다. 희망이란 생명과 함께 하...

  • 관계 속의 생과 우주

    관계 속의 생과 우주

    01/03/23

    김명욱 목사기독뉴스 대표 관계(關係‧Relationship)는 다리(Bridge)와 같다. 다리는 양쪽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어짐엔 세 가지가 있다. 좋은 이어짐, 나쁜 이어짐,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이어짐. 우리네 ...

  •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소우주의 인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소우주의 인간

    12/12/22

    사람은 참 신비하다. 사람은 동물인가 아님 천사인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동물 같은 사람도 있고 천사 같은 사람도 있다. 여기서 ‘같은’이란 말은 정작 사람은 동물의 범주에 있지만 동물이 아니...

  • 포기하지 않는 감사의 마음

    포기하지 않는 감사의 마음

    11/18/22

    인생 70, 80, 90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포기와 좌절이 따랐을까. 아니다. 포기와 좌절은 인생이 시작될때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죽는 그 순간까지 계속된다. 인생을 살면서 성공의 키는 누가 얼마나 ...

  • 겸손은 재물과 영광과 생명을 가져 온다

    겸손은 재물과 영광과 생명을 가져 온다

    10/31/22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큰 미덕은 무엇일까. 미덕(美德)이라면 아름다운 덕이다. 아름다운 덕은 자신과 이웃을 아름답게 한다. 그 중에서 한 가지를 든다면 겸손을 꼽고 싶다. 겸손(謙遜)은 영어로는 Humbleness...

  • 영성의 세계가 마지막 미래요 희망

    영성의 세계가 마지막 미래요 희망

    10/10/22

    사람이 미래를 내다본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 중의 하나다. 미래라 하면 지금 이 순간부터 한 시간 후도 있고 내일도 있고 일주일, 한 달, 일 년, 십 년, 오 십 년, 백 년, 천 년, 만 년, 백만 년, 일억 년, ...

  • 가장 고약한 병중의 병, 암

    가장 고약한 병중의 병, 암

    09/24/22

    인생을 살면서 가장 행복한 사람 중 하나는 한 번도 병에 안 걸리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사람인 듯싶다. 그런데 이런 사람이 있겠는가. 어느 고등종교의 가르침처럼 인생은 생로병사(生老病死), 즉 태어나고, 늙고...

  • 우리를 생각하게 하는 9월

    우리를 생각하게 하는 9월

    09/02/22

    9월3일. 가을에 들었다 해야 하나, 이미 입추(立秋)는 지난달 8월7일이었는데, 뉴욕은 계속 85도를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다. 체감온도는 90도를 넘는 한여름 날씨가 계속된다. 입추가 지난지도 한 달이 넘었는데...

  • 기다림

    기다림

    08/21/22

    “꽃씨 안이 궁금해/ 쪼개 보기엔/ 너무 작고 딱딱해~꽃씨 안이 궁금해/ 귀에 대고 들어 보지만/ 숨소리도 없어~ 꽃씨 안이 궁금해/ 코에 대고 맡아 보지만/ 냄새도 없어~ 궁금해도 기다려야지/ 꽃씨만 아니...

  •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07/31/22

    7월도 하순이다. 100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계속된다. 며칠 더 있으면 8월이 된다. 뉴욕의 날씨는 8월로 들어서면 좀 선선해진다. 그리고 가을로 접어든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산행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뉴욕과 ...

  • 진정 죽음을 아는 자

    진정 죽음을 아는 자

    07/10/22

    죽음이란 명제(命題)는 인간사에서 가장 논의하기 힘든 것 중의 하나다. 다른 동물들은 죽으면 그것으로 끝난다(일부 고등종교를 빼고). 인간은 아니다. 태어나는 것이야 자기 마음대로 어찌할 수...

  • 생존본능, 아미그달라와 하나님을 향한 기도와 찬양

    생존본능, 아미그달라와 하나님을 향한 기도와 찬양

    06/27/22

    행복이란 불안이 없는 상태가 아닐까. 불안하지만 않다면 편안할 텐데. 뭔지 모르게 불안하니 마음이 불편하고 무언가에 쫓기는 것 같다. 불안의 이유도 모르면서 불안할 때도있다. 가질 것 다 가졌는데도 불안해...

  • 성령을 힘입어 정욕을 이겨야

    성령을 힘입어 정욕을 이겨야

    06/12/22

    성(Sex)이란 참으로 미묘한 감정을 일으키게 하는 감성 중의 하나다. 섹스로 표현되는 성은 남성과 여성이 있다. 본래 섹스는 종족보존을 위한 수단으로 남자와 여자는 섹스를 통해 자식을 낳아 기른다. 이처럼 ...

  •  500년 후에는

     500년 후에는

    05/21/22

    “한 많은 이 세상 야속한 님 아 정을 두고 몸만 가니 눈물이 나네/ 청춘에 짓밟힌 애끓는 사랑 눈물을 흘리며 어디로 가나/ 한 많은 이 세상 냉정한 세상 동정심 없어서 나는 못살겠네/아무렴 그렇지 그렇...

  • 사람보다 귀한 동물

    사람보다 귀한 동물

    05/07/22

    ▶︎인간으로 한 번 태어나는 것은 수십억분의 1이란 비율로 태어나며  ▶︎인간 태어남 의 희귀 성과 신비는 글로 다 할 수 없다   생명 존재의 귀중함 이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 생명이...

  • 관계의 회복

    관계의 회복

    04/16/22

    인간사 모든 것은 다 관계(Relatedness:關係) 속에서 이루어진다. 사람이 태어나는것도 관계 안에서 태어난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가 없었다면 자식은 태어날 수 없다. 자식이 또 시집 장가 가서 부부와의 관...

  • 부활에 담긴 참 의미

    부활에 담긴 참 의미

    03/31/22

    기독교의 핵심,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다. 부활을 통해 예수는 그리스도, 즉 메시아가 된다. 메시아란 구약성서에서는 장차 오실 왕으로서의 구세주를 뜻한다.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총칭하는 칭호...

인기 기사
최신 댓글

170-04 Northern Blvd. #2Fl. Flushing, NY 11358
Tel: 718-414-4848 Email: kidoknewsny@gmail.com

Copyright © 2011-2015 기독뉴스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Intonet Solution